<콘텐츠 구성> 박철상 님의 자문
남양주(20%) : 출생, 집안이야기, 여우당, 귀양이후의 삶
서울(15%) : 관직생활, 천주교서학, 정조와의 인연
수원(10%) : 수원성 축조
장기(5%) : 유배, 남인 네트워크
강진(50%) : 저술, 의사, 다인, 승려와의 교류, 유배지 편지
다산 일대기(다산 학술문화재단 자료)
유년기(1762~ 1778년) 남양주-연천-서울-화순
1세 : 마재(현 경기도 남양주군 조안면 능내리) 출생
6세 : 연천현감으로 부침한 부친을 따라감
15세: 결혼하고 부친을 따라 서울에 거주
16세: 체제공, 이가환, 궡철신 등과 교유. 화순현감으로 부임한 부친을 따라감
정치활동기(1779~1799) 서울-해미-서울-수원-곡산
18세 서울세서 정약전과 과거시험 공부
22세 초시합격, 성균관 입학
24세 이벽, 이승훈 등과 천주교 집회를 하다 발각. 정시초시에 수석합격
26세 다산과 이승훈이 주도한 천주교 모임이 발각
28세 초계문신으로 발탁. 정조에게 <대학>을 강의. 한강 배다리 제작
29세 한림 선발과정에 생긴 문제로 해미현(현 서산군)으로 잠시 유배
사간언 정언과 사헌부 지평에 임명.
31세 홍문과 수찬에 임명. 부친상. 정조의 특명으로 수원화성 설계
33세 부친상을 마침. 성균관에 복귀. 성균관 직강. 경기 암행어사. 홍문과 부교리에 임명
34세 동부승지. 병조참의. 우부승지에 임명
중국인 신부 주문모의 밀입국사건에
둘째형 정약전이 연루된 사건으로 금정의 하급관리로 좌천
36세 곡산부사에 임명되어 민생을 구제하고 누적된 폐단을 바로잡음
저술.유배기(1800-1818) 마재-장기-강진
39세 정조승하. 고향 마재의 여유당에서 저작에 주력
40세 정약종이 천주교 서적과 주문모 신분의 서한을 옮기려다 발각
연좌제로 장기로 유배. 황사영의 백서사건으로 강진으로 다시 유배
41세 사의재에서 제자교육을 시작
44세 보은산방에 거주하며 큰 아들 학연을 교육. 혜장선사와 깊은 교류.
45세 제자 이청의 집에 머물며 교육과 저술
47세 다산초당에서 제자들과 협력하여 저술
57세 유배에서 풀려남
만년기(1818~1836) 마재
57세 마재로 돌아감
61세 회갑. <자찬묘지명>지음
75세 본가에서 임종
테마의 시공 구성
다산 연대기
다산의 학문벼경 : 경서, 주자학, 고증학, 서학, 고학
다산의 시와 글
다산의 자녀교육 : 강진 보은산방
다산의 제자교육 : 강진 사의재
다산의 저술 : 마재 여유당, 강진
<주제별>
경세유표(1817)/흠흠신서(1819)/목민심서(1821)
아언각비(1819)/이담속찬(1820)
아방강역고(1811)/대동수경(1814)
소학주관(1810)/아학편훈의(1804)
마과회통(1797)
민보의(1812)
모시강의/시경강의보(1810)/매씨서평(1810)/상서고훈(1834)/
상례사전(1811)/상례외편/악서고존(1816)/주역사전(1808)/
역학서언(1821)/추춘고징(1812)
논어고금주(1813)/맹자요의(1814)/증용자감(1814)/대학공의(1814)
<연대별>
1797 마과회통
1804 아학편훈의
1808 주역사전
1810 소학주관/시경강의보/매씨서평
1811 아방강역고/상례사전
1812 민보의/춘추고징
1813 논어고금주
1814 대동수경/맹자요의/중용자잠/대학공의
1816 악서고존
1817 경세유표
1819 흠흠신서/아언각비
1820 이담속찬
1821 목민심서/역학서언
1834 상서고훈
다산의 사상 : 개혁
다산의 과학 : 수원화성 설계
다산의 의학 : 마과회통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