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금강반야바라밀경)

수보리 장로: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선남자 선여인이

어떻게 살아야 하며

어떻게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합니까?

 

석가보니 부처:

모든 보살마하살은 다음과 같이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

알에서 태어난 것이나

태에서 태어난 것이나

습기에서 태어난 것이나

변화하여 태어난 것이나

형상이 있는 것이나

형상이 없는 것이나

생각이 있는 것이나

생각이 없는 것이나

생각이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닌 온갖 중생들을

내가 모두 완전한 열반에 들게 하리라.

이와 같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중생을 열반에 들게 하였으나

실제로는 완전한 열반을 얻은 중생이 아무도 없다.

 

왜냐하면 보살에게

자아가 있다는 관념,

개아가 있다는 간념,

영혼이 있다는 관념이 있다면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다.

 

보살은 어떤 대상에도 집착없이 보시해야 한다.

형색에 집착없이 보시해야 하며

소리, 냄새, 맛, 감촉, 마음의 대상에도 집착없이 보시해야 한다.

 

이와 같이 보시하되 어떤 대상에 대한 관념에도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

왜냐하면 보살이 대상에 대한 관념에 집착없이 보시한다면

그 복덕은 헤아릴 수 없기 때문이다.

 

보살은 반드시 가르친 대로 살아야 한다.

 

신체적 특징들은 모두 헛된 것이니

신체적 특징이 신체적 특징이 아님을 본다면 바로 여래를 보리라.

 

여래가 열반에 든 오백년 뒤에도 계를 지니고 복덕을 닦는 이는

이러한 말에 신심을 낼 수 있고 이것을 진실한 말로 여길 것이다.

 

나의 설법은 뗏목과 같다.

법도 버려야 하거늘 하물며 법 아닌 것이랴!

 

수보리 장로 :

제가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뜻을 이해하기로는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이라 할 만한 정해진 법이 없고

또한 여래께서 설한 단정적인 법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한 법은 모두 얻을 수도 없고

설할 수도 없으며

법도 아니고

법 아님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모든 성현들이 다 무위법 속에서 차이가 있는 까닭입니다.

 

석가모니 부처 :

모든 보살마하살은 이와 같이 깨끗한 마음을 내어야 한다.

형색에 집착하지 않고 마음을 내어야 하고

소리, 냄새, 맛, 감촉, 마음의 대상에도 집착하지 않고 마음을 내어야 한다.

마땅히 집착없이 그 마음을 내어야 한다.

 

수보리 장로 :

제가 지금까지 얻은 혜안으로는

부처님께서 이같이 깊이 있는 경전설하심을 들은 적이 없습니다.

만일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듣고 믿음이 청정해지면

바로 궁극적 지혜가 일어날 것이니

이 사람은 가장 경이로운 공덕을 성취할 것임을 알아야 합니다.

 

이 궁극적 지혜라는 것은 궁극적 지혜가 아닌 까닭에

여래께서는 궁극적 지혜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제가 지금 이 같은 경전을 듣고서 믿고 이해하고 받고 지니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그러나 미래 오백년 뒤에도 어떤 중생이

이 경전을 듣고 믿고 이해하고 받고 지닌다면

이 사람은 가장 경이로울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 사람은 자아가 있다는 관념,

개아가 있다는 관념,

중생이 있다는 관념,

영혼이 있다는 관념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자아가 있다는 관념은 관념이 아니며

개아가 있다는 관념, 중생이 있다는 관념, 영혼이 있다는 관념은

관념이 아닌 까닭입니다.

왜냐하면 모든 관념을 떠난 이를 부처님이라 말하기 때문입니다.

 

석가모니 부처 :

인욕바라밀을 여래는 인욕바라밀이 아니라고 설하였다.

 

내가 옛적에 가리왕에게 온 몸을 마디마디 잘렸을 때
나는 자아가 있다는 관념,

개아가 있다는 관념,

중생이 있다는 관념,

영혼이 있다는 관념이 없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내가 옛날 마디마디 사지가 잘렸을 때

자아가 있다는 관념,

개아가 있다는 관념,

중생이 있다는 관념,

영혼이 있다는 관념이 있었다면

성내고 원망하는 마음이 생겼을 것이기 때문이다.

 

보살은 모든 관념을 떠나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의 마음을 내어야 한다.

 

형색에 집착없이 마음을 내어야 하며

소리, 냄새, 맛, 감촉, 마음의 대상에도 집착없이 마음을 내어야 한다.

마땅히 집착없이 마음을 내어야 한다.

마음에 집착이 있다면 그것은 올바른 삶이 아니다.

그러므로 보살은 형색에 집착없는 마음으로 보시해야 한다고

여래는 설하였다.

 

여래는 바른 말을 하는 이고

참된 말을 하는 이며

이치에 맞는 말을 하는 이고

속임없이 말하는 이며

사실대로 말하는 이다.

 

여래가 얻은 법에는 진실도 없고 거짓도 없다.

 

보살이 대상에 집착하는 마음으로 보시하는 것은

마치 사람이 어둠속에 들어가면

아무것도 볼 수 없는 것과 같고

 

보살이 대상에 집착하지 않는 마음으로 보시하는 것은

마치 눈 있는 사람에게 햇빛이 밝게 비치면

갖가지 모양을 볼 수 있는 것과 같다. 

 

이 경을 받고 지니고 읽고 외우는 선남자 선여인이

남에게 천대와 멸시를 당한다면

이 사람이 전생에 지은 죄업으로는 악도에 떨어져야 마땅하겠지만

금생에 다른 사람의 천대와 멸시를 받았기 때문에

전생의 죄업이 소멸되고

반드시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게 될 것이다.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선남자 선여인은

이러한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

‘나는 일체 중생을 열반에 들게 하리라.

일체 중생을 열반에 들게 하였지만 실제로는

아무도 열반을 얻은 중생이 없다.”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에 나아가는 자라 할 법이

실제로 없는 까닭이다.

 

여래는 모든 존재의 진실한 모습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여래는 ‘일체법이 모두 불법이다.’라고 설한다.

 

보살이 무아의 법에 통달한다면

여래는 이런 이를 진정한 보살이라 부른다.

 

 

수보리 장로 :

여래에게는 육안이 있습니다.

여래에게는 천안이 있습니다.

여래에게는 혜안이 있습니다.

여래에게는 법안이 있습니다.

여래에게는 불안이 있습니다.

 

석가모니 부처 :

그 국토에 있는 중생의 여러가지 마음을 여래는 다 안다.

왜냐하면 여래는 여러가지 마음이 모두 다 마음이 아니라 설하였으므로

마음이라 말하기 때문이다.

 

복덕이 실로 있는 것이라면 여래는 많은 복덕을 얻는다고 말하지 않았을 것이다.

 

여래가 ‘나는 설한 법이 있다.’는 생각을 한다고 말하지 말라.

이런 생각을 하지 말라.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하신 법이 있다.’고 말한다면

이 사람은 여래를 비방한 것이니

내가 설한 것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설법이라는 것은 설할 만한 법이 없는 것이므로 설법이라고 말한다.

 

내가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에서

조그마한 법조차도 얻을 만한 것이 없었으므로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이라 말한다.

 

이 법은 평등하여 높고 낮은 것이 없으니

이것을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이라 말한다.

자아도 없고

개아도 없고

중생도 없고

영혼도 없이

온갖 선법을 닦음으로써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게 된다.

 

여래가 제도한 중생이 실제로 없기 때문이다.

만일 여래가 제도한 중생이 있다면

여래에게도 자아.개아.중생.영혼이 있다는 집착이 있는 것이다.

 

범부라는 것도 여래는 범부가 아니라고 설하였다.

 

형색으로 나를 보거나

음성으로 나를 찾으면

삿된 길 걸을 뿐

여래 볼 수 없으리

 

보살은 지은 복덕에 탐욕을 내거나 집착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복덕을 누리지 않는다고 설한 것이다.

 

 여래란 오는 것도 없고 가는 것도 없으므로 여래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법이라는 관념을 내지 않아야 한다.

 

설명해 준다는 관념에 집착하지 말고 흔들림없이 설명해야 한다.

왜냐하면 모든 유위법은 꿈, 허깨비, 물거품, 그림자, 이슬, 번개 같으니

이렇게 관찰할지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