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곡(6 Grains)
신맛 : 팥(Red Bean)
콩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우리나라에서는 소두라고도 불린다. 열매로는 보통 팥밥을 지어 먹고 팥고물, 팥소로도 많이 쓰인다. 동짓날에는 팥죽을 쑤어 시절 음식으로 먹었으며 문짝에 뿌려서 액운을 막기도 하였다. 수확기는 10월 중순
쓴맛 : 수수(sorghum)
수수는 우리나라에서 조, 피, 기장 등과 함께 가장 오랜 재배 력사를 가지고 있는 알곡작물의 하나이다. 수수는 땅을 덜 가리며 불리한 자연조건을 이겨내고 적응하는 힘이 센 다수확 작물이다.
수확기는 9월 하순~10월 하순
단맛 : 기장
수확량이 적고 주식으로 이용하기도 부적합하여 재배가 많지 않다. 기장에는 메기장과 찰기장이 있는데 주로 농가의 별식을 만드는 데 이용되고, 기름지지 못하고 메마른 땅에서도 잘 견디며 조보다 성숙이 빠른 이점이 있어 산간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주산지는 경상북도이며 강원도와 각 지방의 산간지에서 재배된다. 수확기는 9~10월
매운맛 : 현미(Brown Rice)
수확한 벼를 건조, 탈곡한 후 고무 롤러로 된 기계로 왕겨를 벗긴 쌀
짠맛 : 쥐눈이콩
서목태는 검은콩의 일종으로 껍질은 까맣고 크기는 보통 검은콩보다 훨씬 잘아 마치 쥐눈처럼 생겼다고 하여 서목태(鼠目太), 일명 쥐눈이콩이라고 불린다. 특히 약성이 뛰어나 예로부터 식용보다는 약콩으로 쓰였다.
떫은맛 : 녹두(Mung Bean)
녹두는 따뜻한 기후를 좋아하고 내건성(耐乾性 : 가뭄에 견디는 성질)이 강하여, 성숙기에 비가 많이 오지 않는 우리 나라에서 재배하기 알맞다. 또 생육기간이 길지 않으므로 조생종은 고랭지나 고위도지방에서도 재배할 수 있다. 콩이나 팥보다 파종이 가능한 기간이 길어서, 봄녹두는 4월 중순·하순경에, 그루녹두는 6월 하순∼7월 중순에 파종한다. 수확적기는 봄녹두의 경우 7월 중순·하순이고, 그루녹두는 10월 상순경이다.
6곡 주식
6곡생식
6곡인 팥, 수수, 기장, 현미, 쥐눈이콩, 녹두 생가루
6곡밥 4~5인분
오분도미 250g
팥 40g
수수 40g
기장 40g
현미 40g
쥐눈이콩 40g
녹두 40g
6곡비빔밥
6곡밥 + 6미나물 + 양념고추장
김치말이 6미 국수
우리밀국수 + 6미(구연산, 참깨, 유기농케인슈가, 김치, 겨자, 양파, 청양고추가루, 죽염, 오이)
부침개용 6곡가루 1kg
우리밀가루 500g
수수가루 100g
기장가루 100g
현미가루 100g
쥐눈이콩가루 100g
황옥수수가루 100g
6곡국수 또는 수제비용 가루
6곡떡
6미 나물 반찬
신맛 : 부추
쓴맛 : 쑥, 도라지, 민들레, 고들빼기
단맛 : 호박,
매운맛 : 양파, 무우, 배추, 달래,
짠맛 :
떫은맛 :
6미 과일청 및 생과일 쥬스
신맛 : 딸기(봄), 자두(여름), 청귤(가을), 파인애플(사철), 레몬(사철), 오렌지(사철) + 구연산
쓴맛 : 자몽(사철)+구연산, 살구(여름)
단맛 : 모든 생과일 공통분모
매운맛 : 복숭아(늦여름), 배(초가을)
짠맛,지린맛 : 수박(여름)
떫은맛 : 바나나(사철), 생아로니아(8~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