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의학] 비틀킴의 6곡생식 및 6미식단

식단주제 : 6곡생식과 6미식 식사횟수 : 1일 2회 식사시간 : 오전 8시와 오후 4-5시 생식시작 : 2014년 4월~ 식단재료 : 6곡생가루        12g              황옥수수생가루  12g              유기농 케인슈가 35g              구연산            15g 이상 4가지를 물에 녹여서 마심                9회죽염            6g              인진쑥환           4g              청양고추환        4g 이상 3가지는 찌개 국물에 삼킴   생식변형 1일 2회 –> 2016년 11월 1회로 시도            아침 … Read more

[음식의학] “먹는다는 것”의 의미와 식품의 역할

    [“먹는다는 것”의 의미]        생명체는 왜 먹어야 한는가? 안먹으면 안되는가?라는 물음에      결론부터 말하자면 “안먹어도 됩니다”.       우주공간에 존재하는 에너지를 끌어다      내 몸에 공급할 수 있는 호흡식 능력만 있다면 말이죠.        그러나 우리는 흐흡식할 능력이 없으므로 몸을 살리려면 먹어야 합니다.      인간이 음식을 통해 궁극적으로 만드는 최종적인 형태가      영어로 말하면 에너지(Energy)이고 … Read more

[음식의학] 풍성한 6곡생식 식사법

[풍성한 6곡생식 식사법]   주식을 받대신 6곡생식으로 바꿀 뿐 나머지 반찬과 찌개 등의 상차림은 화식 식단과 동일합니다.   단, 찌개, 국, 반찬 등을 먹을 때 익은 건더기는 먹지 않습니다. 뜨끈한 국물, 김치종류, 생채쌈, 생야채, 과일 등은 생식과 함께 먹어도 됩니다. 주식과 부식 모두 생식으로 해야 합니다.   요즘처럼 쌀쌀한 기운의 날씨에 콩나물국, 된장찌개, 김치찌개 등의 … Read more

[음식의학] 실패한 생식 및 성공적인 생식에 대한 고찰

[실패한 생식 및 성공적인 생식에 대한 고찰]   이 세상 모든 것은 이것이 있음으로서 저것이 있게 되는 한치의 오류도 없이 원인과 결과의 법칙(인과)에 의해 돌아갑니다.   무엇인가 시도했다가 실패를 했다는 것은 실패한 원인을 심었기 때문입니다.   많은 분들이 생식을 하다가 실패를 했다고 합니다. 생식하면 몸이 차가워진다는 인식들도 가지고 있고요.   그렇다면 대체 어떤 생식을 했길래 실패했는지 … Read more

[음식의학] 건강하려면 생각부터 바꾸어야 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건강해지기를 원합니다. 그러나 그저 “원하기만” 합니다. 건강한 삶의 원인의 선택과 실행을 하지 않는다면 원하기만 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지요.   하나를 선택하면 그에 따라 버려야 하는 댓가가 반드시 따르는 것이 인과의 세상이죠. 건강하지 않는 선택과 실천을 버리지 않고서 건강해지기를 원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이러한 선택중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맛”입니다. 건강해지려면 … Read more

[음식의학]음식의 간을 못보는 이유

[음식의 간을 못보는 이유]   음식을 만드는 사람의 심장이 않좋을 경우 심장과 연결된 혀의 감각이 마비되어 음식 간맞추는 균형감이 떨어집니다. 평상시 쓴맛 음식섭취로 심장을 건강하게 관리하면 혀의 감각은 물론 심장에 스텐트를 삽입하는 상황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닥터비건 음식의학

[음식의학] 오행의 근본 역할과 건강

[오행의 근본 역할과 건강]   木氣(간장담낭) : 부드럽게 하는 역할(신맛) 火氣(심장소장) : 확 퍼지게 하는 역할(쓴맛) 土氣(비장위장) : 고정시키는 역할(단맛) 金氣(폐장대장) : 긴장감을 주는 역할(매운맛) 水氣(신장방광) : 연하게 하는 역할(짠맛)   우리 몸은 이렇게 오행의 다섯가지 원재료로 만들어졌습니다. 목화토금수 오행에 생명력을 다스리는 相火氣(심포삼초; 떫은맛) 하나가 더해져 6氣가 우주의 근본 에너지입니다.   이 여섯가지기운을 만들기 위해서 … Read more

[음식의학] 피로를 잡는 세가지 양념

“정(精)이라는 수(水)는 무엇인가 하면 태어나기 이전부터 있었고 참되고 하나뿐인 기(氣)이다.” -태을금화종지/여동빈 저-   정(精)이란? 넓은 의미로는 만물의 속 알맹이를 뜻하고 중간의미로는 육장육부의 기(氣)의 속알맹이를 뜻하고 좁게는 신(신장)의 기의 속 알맹이를 뜻한다. 정액으로 변하기 이전의 아주 본질적인 속 알맹이   첫째, 사람의 眞氣는 水에서 나오므로(큰바다 “양수”에서 자람) 진기와 기력를 보존하고 몸을 의미하는 精을 건강하게 하기위해서는 水기운인 … Read more

[음식의학] 환절기 대비책

썬뜩 썬뜩한 추위가 교차되고 있는 환절기에 냉기가 침범하여 재채기, 감기 및 비염 등의 냉병이 생길 수 있습니다.   환절기 냉기를 온기로 바꾸기 위해서는 찬 식음료를 멀리하고 “따뜻하고 매운(Hot)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대비책입니다.   음식외에 또 한가지는 “호흡을 따뜻하게 하는 것”입니다. 멀티 머플러를 목에 두르고 있다가 찬바람이 일거나 냉기 침입시 코까지 올리면 목도 보호하고 마스크 역할도 … Read more

[음식의학] 건강한 몸과 정신의 시작: 독소제거

몸과 정신이 건강해 지기 위한 가장 근본 시작은 몸안의 독소와 냉기제거에서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즉, 몸안에 독소와 냉기가 있는 한 건강해 질 수 없는 것입니다.   독소와 냉기의 원인은 생활습관중 식습관이 가장 크게 작용합다. 몸을 정화해야 생각이 정화되고 그 생각으로 부터 나오는 말과 행동이 정화되는 것입니다.   독소를 제거하는 원천적인 방법은 독이 비교적 적은 깨끗한 음식을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