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의학 쇼핑가이드] 좋은식품 선별 기준
좋은식품 선별 기준 1. 쌀 정제를 덜한 3분도미, 5분도미, 최대 7분도미 미만 2. 모든 곡류와 생곡식 가루 껍찔을 벗겨내지(박피했는지) 않은 전년도 생산 곡식 3. 기름 전통방식의 압착식으로 짠 불포화지방산(찬온도에 굳지 않음) 기름 (고소한맛으로 간담에 좋음) 4. 소금 정제하지 않은 천일염과 그 천일염으로 높은 온도에서 구운 죽염(신장방광에 … Read more
좋은식품 선별 기준 1. 쌀 정제를 덜한 3분도미, 5분도미, 최대 7분도미 미만 2. 모든 곡류와 생곡식 가루 껍찔을 벗겨내지(박피했는지) 않은 전년도 생산 곡식 3. 기름 전통방식의 압착식으로 짠 불포화지방산(찬온도에 굳지 않음) 기름 (고소한맛으로 간담에 좋음) 4. 소금 정제하지 않은 천일염과 그 천일염으로 높은 온도에서 구운 죽염(신장방광에 … Read more
[음식궁합에 의한 식품개발 방향성] “음식이 치료제”라는 우파니샤드의 컨셉과 에너지 상극관계에 의한 음식궁합을 응용하여 실제 치료제 역할을 하는 음식과 식품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피부가려움증으로 대표되는 아토피, 두드러기, 기타 피부가려움증을 회복하기위한 식품으로 생강, 마늘, 양파, 파, 청양고추, 겨자 등으로 음식에 넣어 먹는 것은 물론 달고 매운 과자와 차를 만들어 소비자들 가까이에 존재하게 하고 활동력이 … Read more
수학에는 숫자 1이 있다. 모든 숫자들은 1의 배수이다. 이처럼 이 우주에는 하나의 절대적인 실재가 있고 이 우주의 다른 모든 이름들은 그 하나의 배수적 표현에 지나지 않는다. 몸과 내적 상태와 외부세게의 세 각이 삶의 정삼각형을 구성한다. 모든 수들이 측정할 수 없는 하나의 점으로부터 나오듯이 전 우주도 측정할 수 없는 공(空)으로부터 나온다. 삶은 그가 원이나 영에서 … Read more
“모든 명칭과 형태의 이면에는 현대의 과학자들이 아직 그 전체를 밝혀내지 못한 통일된 원리가 숨어 있다. 베단타나 고대의 학문들은 생명속에 내재된 그러한 법칙들을 가르쳐주고 있지. 오직 하나의 생명력만이 존재하며 이 우주의 모든 형태의 이름들은 그 하나의 변형일 뿐이야. 모든 것의 근원은 하나이며 같은것이기 때문에 두 물질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기는 어렵지 않아. 물이 얼면 얼음이라 하고 증발될 … Read more
[남 일에 신경쓰는 대신 자신의 내면에 신경쓴다면?] 타인과 사회적 현상에 대해 우리가 느끼는 매순간 순간의 감정(원인)은 한치의 오차없이 그대로 6장6부에 반영(결과)됩니다. 화를 내고 분노하는 그 순간 간의 문제로 이어지며 심장을 압박하는 등 6장6부 시스템상황에 고스란히 녹아듭니다. 부정적인 감정으로 약화된 6장6부로인해 스트레스 내성에 무력해져 외부상황에 취약한 감정반응을 일으키는 정신적 육체적 악순환이 반복되죠. … Read more
배설물 최소화 프로젝트(No or Less Stool Project) 조건 1. 1일 2회 6곡생식과 6미 only 2. 6곡생식 1회당 6곡생가루 10g + 황옥수수생가루 10g 3. 1일 2회 6곡생식 & 6미 외에 일체 섭취금지(No Food & Beverage at all) 4. 죽염탄 뜨거운 물 또는 옥수수차 허용(Hot water with salt is allowed) 기간 2017년 3월 27일 월요일부터 몸무게 3/27일 … Read more
[건강식습관 12 떫은맛의 신비] 모든 결과에는 반드시 원인이 있기 마련입니다. 모든 증상(결과) 역시 과거에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심은 원인이 있습니다. 씨를 보면 어떤 과일인지 모를 수 있지만 열매가 열리면 어떤 과일인지 알게 되지요. 씨없이 열매가 열릴 일은 하늘이 무너져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아름다운 손가락 관절이 통증과 함께 뒤틀리고 손바닥에 땀이 차다못해 습진과 가려움증이 생기고 한열 … Read more
[음식 미(味)학 : 채미료] 진정 건강을 위한다면 동물성 단백질이 없는 채수용 “채미료”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채미료는 찌개, 국, 나물, 김치, 라면, 칼국수, 수재비 등 거의 모든 음식에 사용됩니다. 양배추, 표고버섯, 샐러리, 곰보버섯, 효모, 간장, 설탕, 소금 등으로 채식의 나라 대만에서 만들어진 “채미료”가 있습니다. 맛을 내기 위해 이처럼 간단하고 맛있는 조미료가 또 있을까 … Read more